The 13th
KOREA HEALTHCARE
CONGRESS 2022

2022. 11. 29(화) - 11.30(수)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파르나스

프로그램
Icon Home > 프로그램 > 세부 프로그램

Day 1 (11.29(화))
Day 2 (11.30(수))

09:00-10:30
주제발표: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ESG, 대비와 전망
좌장: 박승일 | 서울아산병원 병원장
보건의료 전략에서의 핵심 동력으로 다가오는 ESG
스티븐 탐슨
시더스 사이나이 시니어 컨설턴트 , 미국
기업의 ESG 경영 전략과 사례
박경수
삼정KPMG 전략컨설팅그룹 상무이사 , 한국
메디컬 도메인에서의 ESG경영과 삼성서울병원의 추진 전략
이형배
삼성서울병원 부사장/행정부원장 , 한국
10:50-11:00
KHC 어워즈 시상식: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병원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
11:00-12:30
패널토의: 필수 의료와 의료인 확보를 위한 대토론
사회: 김철중 | 조선일보 의학전문 기자, 한국
신응진
대한외과학회 이사장 , 한국
김상일
대한병원협회 미래헬스케어위원회 위원장 , 한국
정의철
진주 제일병원 병원장 , 한국
박은철
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, 한국
박현미
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부교수 , 한국
차전경
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과 과장 , 한국
12:30-14:00
런천
14:00~
분과발표 9: [감염관리] 포스트 코로나시대, 감염관리수가의 체계의 개편
좌장: 엄중식 |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부회장 /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, 한국
감염관리 보험급여수가의 개발 배경과 과정
엄중식
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부회장 /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, 한국
감염관리수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- 감염관리 인력과 검사 수가 중심
이혁민
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정책이사 /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, 한국
감염관리수가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- 의료기관 시설, 구조, 환경관리 중심
정선영
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부회장 /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부교수 , 한국
14:00~
분과발표 10: 환자경험 & 서비스디자인 –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환자경험 구조를 어떻게 바꿔야하나
좌장: 박승우 | 삼성서울병원 병원장, 한국
우리는 인간 중심의 병원을 만든다
조은희
서울아산병원 이노베이션디자인센터 팀장 , 한국
환자경험, '관리'를 넘어 '문화'로
여상근
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영혁신팀 팀장 , 한국
환자경험 개선 사례
김영진
대구파티마병원 고객행복실 실장 , 한국
14:00~
분과발표 11: 포스트 코로나 병원공간 리디자인
좌장: 최호순 | 한양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, 한국
바이오필릭 건축물과 웰니스
조철민
차밍시티(서울프라퍼티인사이트) 대표 , 한국
식물이 주는 공간의 긍정 에너지
김광수
마초의사춘기 대표 , 한국
포스트 코로나 시대의 의료공간 변화
이정열
메디컬공간브랜딩 대표 , 한국
14:00~
분과발표 12: [영양] 환자 영양치료, 새로운 기준에 주목하라
좌장: 임정현 | 대한영양사협회 부회장 / 서울대학교병원 급식영양과 과장, 한국
연속혈당모니터링을 통한 정밀영양관리
권미라
서울대학교병원 급식영양과 임상영양파트장 , 한국
식생활 환경변화와 병원식의 미래
이해영
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, 한국
임상영양관리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의 효과적 활용 -모바일 헬스 앱을 중심으로
박신옥
눔코리아 B2B/연구팀 시니어코치매니저 , 한국
14:00~
포럼 3: 방문진료 및 가정간호에서의 의료인력 적절히 공급되고 있는가
좌장: 김성우 |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병원장
재택의료 인력 - 방문진료, 가정간호를 중심으로
이선영
서울대학교병원 공공진료센터 임상조교수 , 한국
추혜인
살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살림의원 원장 , 한국
이혜연
서울대학교병원 공공진료센터 가정간호사업팀 팀장 , 한국
정성훈
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과장 , 한국
16:00~
분과발표 13: HR – 포스트 코로나에 즈음한 병원 인사관리 출구전략
좌장: 정승용 |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병원장, 한국
뉴노멀 인재관리
정태희
리박스컨설팅 대표 , 한국
직무중심 인적자원관리(공공기관의 채용 사례)
최순성
한국역량교육연구소 전문위원 , 한국
초개인화 시대의 리더의 역할
백종화
그로플 대표 및 코치 , 한국
16:00~
분과발표 14: 병원 혁신사례 - 병원 현장을 가다
좌장: 김영훈 | 고려대학교의료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, 한국
울산 권역의 유일한 상급종합병원 – 위기를 넘어 기회로
정융기
울산대학교병원 병원장 , 한국
지역을 기반으로 한 뇌졸중 전문병원의 운영사례
김문철
에스포항병원 대표병원장 , 한국
종합병원에서의 외국인 진료 센터의 역할, 검진에서 진료까지
김영진
시화병원 PI 실장 , 한국
국내최초 대학병원 내 팔다리혈관센터의 운영 경험
박상우
건국대학교 팔다리혈관센터 센터장 , 한국
16:00~
분과발표 15: 디지털헬스 – PHR(마이헬스웨이) 사업의 전망
좌장: 유희철 | 전북대학교병원 병원장, 한국
병원의 역할과 과제
최병관
부산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원장 , 한국
마이헬스웨이 적용과 운영경험 소개
최인영
가톨릭대학교 의료정보학교실 교수 , 한국
마이헬스웨이 시스템 구축 성과 및 발전방향
변남수
한국보건의료정보원 보건의료정보본부 본부장 , 한국
16:00~
분과발표 16: [약제] 새로운 시대를 위한 미래형 약료서비스
좌장: 강진숙 | 한국병원약사회 부회장 / 서울성모병원 약제부장
디지털 의료환경 속 스마트 약제시스템 구축 전략
정경주
한국병원약사회 기획이사 , 한국
환자중심의 약사 커뮤니케이션
김현아
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, 한국
환자안전을 위한 소아전문약사의 활동
박근미
한국병원약사회 소아약료분과 위원장 , 한국
16:00~
포럼 4: 원격의료를 둘러싼 법적, 제도적 문제
좌장: 유경하 | 이화여자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, 한국
한국에서 원격의료를 둘러싼 논란
김성근
가톨릭중앙의료원 정보융합진흥원 정보운영본부장 , 한국
김선욱
법무법인 세승 변호사 , 한국
박진식
대한병원협회 사업위원회 위원장 / 세종병원 이사장 , 한국
신현영
국회의원 , 한국
후 원